<전쟁 발발의 개요>
1975년 남부 베트남을 함락시킨 통일 공산 베트남은 전통적으로 반중(反中) 감정을 갖고 있는 데다가 소련과의 탄탄한 연대력을 갖고 있어 중국으로서는 베트남을 매우 위험스럽게 보게 된다.
게다가 사회주의 체제를 뿌리내리려 했던 베트남으로서는 베트남에 거주하는 중국 화교들의 영리 행위가 전형적인 자유경제행위를 주도하고 있었으므로 화교에 대한 탄압을 멈출 수가 없었다.
그러나 중요한 외화 획득원의 하나였던 중국 화교에 대한 베트남의 탄압 정책을 중국 정부로서는 도전으로 받아들였다.
<전쟁 일지>
1978년 가을부터 베트남 : 중국의 대립은 매우 빠르게 악화되었고, 매스컴을 통한 비난 성명전도 강도를 더욱 높여가게 된다.
1979년 초부터는 국경지역에서 작은 충돌들이 일어나면서 사상자가 나오기 시작하며, 양국의 상대방에 대한 비난 강도는 더욱 높아지면서 국경선에는 군대가 증강배치된다.
중국군 수만 명이 운남성(雲南省)에서 베트남의 국경지대로 이동하는 것이 미국의 인공위성에 의해 확인되기 시작했으며, 이어서 국경선상의 십여 군데에서 포연과 화염이 일어나는 것도 포착되어 서방세계에 알려지게 된다.
중국군은 5개 사단 약 7만 명의 병력으로 국경선으로부터 20~30Km 떨어진 인구 3~5만 정도의 작은 도시인 베트남의 몽카이, 하치만, 라이차우 3개 도시를 목표로 주공격 루트를 삼아 공격한다.
1979년 2월 18일 중국은 '베트남에 대한 징벌이며, 영토에 대한 야심은 없다'는 공식 성명을 발표한다.
이에 베트남의 하노이(Hanoi) 방송은 중국의 침략에 항의하며 항전하겠다는 공식 성명을 발표한다.
1979년 2월 20까지 중국군의 침공군 병력은 더욱 늘어나 63형 전차 수백 대를 포함하여 10만 명 이상으로 늘어난다.
중국군은 후방에 580만 명의 병력이 있었지만, 이 모든 병력을 운남성 일대로 집결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국경선 일대는 주로 1,000~1,500m에 이르는 산악과 아열대림 지역으로 대규모 병력의 이동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중국군은 인해전술에 기초하여 아열대 산림을 벌채해가면서 길을 뚫고, 이 뚫린 길로 병력을 투입하는 제파 공격으로 베트남군의 진지를 압박한다.
베트남으로서는 이 국경 산악 지대가 돌파당하면 국경지역으로부터 160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수도 하노이(Hanoi)가 위태로워지며, 이 산악지대를 벗어나면 홍강(Red river)의 삼각주에 위치한 하노이 까지는 방어가 불가능한 평야지대가 펼쳐지는 지리적 약점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베트남군으로서는 이 산악지대에서 중국군의 주력에게 타격을 입히는 게 가장 중요했다.
무식할 정도로 병력을 대량 투입하여 무조건 전진 돌파하는 중국군의 전술에 맞서 베트남군과 베트남 지방 예비군들은 민간인들을 대피시키고, 산의 능선을 중심으로 북사면에 견고한 방어진지를 구축하여 완강히 항전한다.
중국군은 엄청난 병력의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베트남 진지를 공략하기 위하여 많은 전차와 보병을 투입하지만, 오히려 개전 24시간 만에 63형 전차 13대를 격파당하는 수모를 겪는다.
이들 63형 전차는 대부분 베트남군 보병이 발사한 소련제 대전차 미사일에 의해 파괴되었다.
중국군과 베트남군은 쌍방 간에 포병의 많은 화력을 동원하기도 하였지만, 산악과 삼림으로 이루어진 지리적 특성상 큰 효과는 보지 못했다.
이에 초조해진 중국군은 2월 20일경 목표한 대부분의 베트남군의 방어진 지를 돌파하는데 실패하면서, 추가로 10만 명의 병력을 투입하게 된다.
1978년 2월 24일에는 결국 20만 명의 대공세 앞에 베트남의 돈단과 몽카이 방어 진 지가 돌파당한다.
그러나 중국군은 이 작은 도시를 점령하기까지 2,000명의 전사자와 40대 이상의 전차와 차량을 잃게 된다.
이에 반해 베트남군은 완강하고도 적절한 작전을 펼쳐 엄청난 공격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비해 1/3 수준인 840명 사상이라는 병력손실에 그칠 수 있었다.
1978년 2월 27일부터 베트남은 반격에 나선다.
1978년 2월 28일 베트남군은 중국군에게 빼앗겼던 돈단시를 다시 탈환한다.
베트남 병사들이 중국군의 수적 위력 앞에 결코 두려워하지 않고 항전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은 중국 수뇌부에게 이 탈환 소식은 엄청난 충격이 되었다고 한다.
공군의 동원은 전면전으로의 확전을 우려한 탓인지 양측에서 많이 동원되지는 않았지만,
중국군의 J6(Mig-19의 중국형)와 베트남군의 A-37이 일부 출격하여 주로 소규모 대지 공격에 투입되었는데, 중국군의 J6이 15대 이상 격추된데 비하여 베트남군은 1/3 수준인 5~6대 정도를 잃었다.
1978년 3월 1일부터 중국군은 6.25 때 투입되었던 정예의 325사단과 338사단을 주축으로 란손을 점령하기 위해 공격을 강화한다. 중국군은 6.25 때처럼 인해전술에 기초한 제파 공격으로 베트남군 진지를 파상 공격하여 차례로 공략하게 된다.
베트남군은 몇몇 거점에서는 전멸 상황까지 가면서도 항전하며 전략적 철수를 병행하는 전술을 구사하였는데, 이는 중국군에게 가능한 많은 병력 손실을 주면서 지탱할 수 없을 때에는 퇴각하는 전술이었다.
결국 60,000명 이상의 병력을 집중하여 란손을 점령한 중국군은 이 도시를 철저하게 파괴한다.
1978년 3월 2일에는 국경선에 위치한 라오카이도 중국군에게 점령당한다.
1978년 3월 2일 소련은 전쟁이 장기화할 경우 베트남에 대규모 의용군을 파견한다는 발표를 한다.
1978년 3월 3일 국경선으로부터 30Km 거리를 어렵게 점령한 중국군은 '징벌'을 달성하였다는 공식 성명을 발표하고 철수를 시작해 이에 베트남군도 휴전을 전한다.
1978년 3월 15일 중국의 국방장관 화국봉은 베트남에서 완전 철수하였다고 발표한다.
<전쟁의 결과>
이 전쟁에 중국군은 20만 명의 병력을, 베트남은 10만 명을 동원하였다.
이후 베트남은 중국군 41,705명 섬멸, 전차와 차량 421대 그리고 화포 66문을 파괴 또는 노획하였다고 발표한다.
이 전쟁에서 중국군은 징벌의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성명을 발표하였지만, 피해는 예상외로 커서 중국 수뇌부에게 많은 충격을 주었다.
중국의 11개 사단이 괴멸적 또는 중대한 손실을 입는 예상외의 타격을 받은 데에는 베트남군이 열세한 병력에도 불구하고 수적 열세에 대한 두려움을 갖지 않았고, 미국제 M113 장갑차와 소형 무전기 같은 상대적 첨단 장비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였기 때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79년 발행된 중국군의 보고서는 보병의 돌격에 의한 인해전술은 현대전에 적합하지 않은 과거의 전법이며, 중국군 역시 과거의 군대에 불과하다고 자체 평가를 하게 되며, 1982년부터 중국군은 현대화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군사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인가? (0) | 2023.02.28 |
---|---|
미국 항공단전술학교(ACTS)의 의의 (0) | 2022.11.04 |
전차 포탄의 종류에 대해 araboja (0) | 2022.11.04 |
전투기 BVR전의 잘못된 상식에 대하여 (0) | 2022.11.02 |
전차 장갑의 종류에 대하여 (0) | 2022.10.31 |
댓글